군산은 지난 10여 년간 ‘인구 쓰나미’라 불릴 만큼 가파른 인구 감소와 산업 기반 붕괴를 경험했다.
2017년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2018년 GM군산공장 폐쇄는 단기간에 1만 명이 넘는 일자리를 사라지게 했다.
군산은 인구 절벽이라는 현실 앞에 서게 됐다.
인구 감소와 경제 회생의 해법은 재생에너지와 신산업 유치라고 본다.
문재인 정부가 닦아 놓은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윤석열 정부 들어 표류했고, 추진 동력은 약화됐다.
결국 그 피해는 시민들에게 돌아왔다.
검찰 무혐의 이후, 남은 과제
강 시장은 최근 2년에 걸친 검찰 수사 끝에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는 오랜 기간 소모적 논란에 시달려야 했다.
무혐의로 사건이 종결되었다 해도, 음해성 투서와 고발이 남긴 상처는 결코 가볍지 않다.
지도자가 무대응으로 일관하자 시민들은 불신을 키웠고, 반대 세력은 그 틈을 파고들었다.
강 시장이 “앞으로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불필요한 혼란을 차단하기 위한 선택이다.
그러나 법적 대응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재생에너지와 RE100, 그리고 군산의 미래
군산이 다시 살아날 길은 명확하다.
첫째,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의 안정적 추진이다.
둘째, RE100 산업단지 지정을 통해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는 일이다.
셋째, 현대중공업이 참여한 MASGA 프로젝트와 연계한 군산조선소 재가동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일이다.
이 세 가지 과제가 성과를 낼 수 있다면, 군산은 다시 ‘산업 도시’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다.
‘앵무새식’ 고발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문제는 정치적 반대가 도를 넘어섰다는 점이다.
은파도로 개설, 옥회천 사업 등에서 제기된 횡령 의혹은 모두 무혐의로 결론 났다.
그럼에도 같은 주장이 SNS와 유튜브를 통해 반복되며 시민들의 불신을 부추겼다.
이른바 ‘앵무새식’ 고발은 공익 제보의 탈을 쓴 정치적 공세일 뿐이다.
공익 제보는 보호받아야 하지만, 허위사실 유포와 정치적 음해까지 포용해서는 안 된다.
사법기관의 면죄부 또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강임준 시장이 “온몸을 던져 군산의 재도약을 이끌겠다”고 밝힌 것은 실행으로 이어져야 한다.
군산은 위기의 끝자락에서 다시 한번 도약의 기회를 맞고 있다.
이 기회를 살릴지, 또다시 갈등에 소모될지는 지도자와 시민 모두의 선택에 달려 있다.
채명룡 / 2025.08.26 13:5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