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민문화회관에서 지난 3년여 동안 벌어진 소통협력사업에 30억 원의 예산이 들어갔으나, 예산이 투명하게 사용되었는지 사전 점검하거나 사후 검증하는 절차 없이 사업이 부실하게 추진되었다는 주장이 나왔다(본지 7월 17일, 7월 31일, 8월 14일 ‘뉴스초점’ 보도).
한경봉 시의원은 지난 26일 제27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30억 원 쓰인 소통협력사업, 밝히지 못하는 세부 집행 내역’이라는 제목으로 예산 사용의 부적절성을 지적했다.
한 의원에 따르면 “2022년 12월 민간위탁 확정 이후 민관협의체가 구성되어야 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사업이 종료되는 2024년에야 협의회가 꾸려졌다”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위탁업체인 커넥트군산에 의해 사회혁신프로그램이라는 명목으로 막대한 예산이 사용되었는데, 사전에 예산 사용의 적정성이나 금액을 검증하는 절차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되었다는 주장이다.
또한 그는 “지난 7월 22일 세부 사업별 지출 증빙 자료도 없이 결산 심의를 하려고 한 것 자체가 잘못된 일”이라며 “투명하게 예산이 집행되었다면 증빙 자료 제출은 의무”라고 강조했다.
한 의원은 이날 “소통협력사업 30억 원의 세부 집행 내역과 증빙 자료를 즉각 공개함은 물론, 민간위탁 과정에서의 불투명성과 관리 부실에 대한 전면적인 감사를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이와 같은 한경봉 시의원의 주장은, 시민문화회관에서 비슷한 시기에 2개의 국비 사업이 추진되면서 모두 158억 9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된 점을 감안해 사후 검증을 확실히 하자는 취지여서 집행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한편 본지는 지난 7월 17일자에 ‘누구를 위한 시민문화회관 위탁 관리인가(?)’를 시작으로, 7월 31일자 ‘시민문화회관 소통협력사업, 허술한 자료 제출 말썽’, 8월 14일자 ‘시민문화회관 소통협력사업, 수의계약·급여 문제 논란’을 통해 이 사업의 문제점을 집중 보도한 바 있다. /채명룡 기자
채명룡 / 2025.08.26 14:0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