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의회 서은식 의원은 23일 제254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군산시는 10년 된 근대역사공간 평가 및 체계적인 3.5 만세운동 계승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지난 3월 1일 대통령이 삼일절기념사에서 (조선이)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했다고 말해 논란이 되었고 6일 정부는 우리 기업이 대신해 피해자에게 보상하는 안을‘강제동원 해법’으로 발표했으며 지난주, 한·일 정상회담에서 진정성 있는 사과도, 강제동원 가해(加害)기업의 기금 참여 약속도 받아 오지 못했다”고 성토했다.
이어 “이 와중에 군산을 돌아보면 일제의 만행을 목격한 군산이 해야할 일은 자명하다”며 “항상 경각심을 가지고 도시에 새겨진 역사의 기록을 돌보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한편,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현재 국내 포털사이트에 ‘일제 강점기’를 ‘대일 항쟁기’로 바꾸는 글로벌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는 일제 강점기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자의 관점에서 일제가 주체가 되어 서술된 표현이며, 저항했던 한국인의 관점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고 소개했다.
서 의원은 “부끄러운 상처를 들추지 않으려다 지워진 부분은 없는지, 왜곡하고 있지는 않은지, 일본 우익들이 주장하는‘식민지 조선 근대화론’주장에 군산의 근대역사공간들이 빌미를 주고 있지 않은지 등 이런 관점에서 군산근대역사공간을 돌아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먼저 근대역사거리를 돌아볼 때 간판만 보더라도 옛 명칭과 현재 명칭 병행표기와 그 건축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며 옛 조선은행 군산지점, 옛 일본 제18은행 군산지점, 무역회사 미즈상사, 조선식량영단군산출장소 등의 개선사항을 일일이 제안했다.
그는 “근대건축관, 근대미술관 등 근대역사문화공간들이 개관된 지 올해로 10년인데 명칭, 전시물, 표현 하나하나까지 다시 살펴 군산이 ‘역사 교육 현장’이 되는데 부끄럽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라며 “2009년부터 시행된 근대산업유산 예술창작벨트화사업(근대건축관, 근대미술관, 장미갤러리, 미즈카페 등), 근대역사경관사업(15개동, 임대시설)의 평가 및 보완을 요청한다”며 “공적자금 200여억 원을 들어 조성한 근대역사문화체험공간의 경우 방문객이 얼마나 왔는지 체험 성과는 어떠했는지 등의 전문기관의 평가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군산 3.1운동 100주년 기념관에 이국적인 모양의 상징물이 당시 독립운동 상황과 동떨어져 있다는 문제 제기가 다수 있다고 소개하며, 30개 기초지자체에 있는 항일독립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가 한강 이남 최초의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군산에만 없어 본 의원이 관련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군산3.1운동 100주년 기념관」을 「3.1운동, 군산3.5만세기념관」으로 명칭 변경방안도 검토할 것”을 집행부에 촉구했다.
새군산신문 / 2023.03.23 13:5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