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사업이 시작된 지 꼭 30년을 맞이했다.
이 사업은 87년 대선에서 노태우 후보가 전북 유권자의 표를 얻기 위해 던진 공약으로 농지를 조성하겠다고 시작된 국책사업이다. 한때 환경 단체의 반대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아무튼 30년째 사업은 진행 중이다.
현재 공정률은 약 25%, 현재까지의 공사비는 15조 원, 600만 원씩을 보상비라는 이름으로 쥐여주는 푼돈을 받고 수산인 들이 쫓겨났다. 그리고 전북의 수산업은 70%가 사라졌다. 그래서 생긴 직 간접 손실액은 대략 잡아도 30조 원 이상이다.
방조제를 막기 전까지 그 바다에서 수산업으로 얻은 이익은 연간 약 4천억 원, 어머니들이 호미 한 자루로 조개 잡아서 얻은 돈은 연간 400억 원이었다.
30년을 지내 오면서 바다 위에 그린 그림은 몇 번이나 그렸다가 지워지기를 반복했다. 농지조성을 30%로 축소하면서 어떤 이는 두바이를 그렸다가 지웠고, 어떤 이는 실리콘밸리를 그렸다가 지웠고, 또 어떤 이는 한중 경협 단지를 그렸다가 지웠고, 심지어는 삼성도 다녀갔다.
그리고 이제 또다시 다른 그림을 그렸다. ‘신재생 에너지 복합단지’라는 이름의 그림이다.
대통령 후보들마다 자신이 정권을 잡으면 새만금 사업을 조기에 완공하겠다고 큰소리를 쳤고, 심지어 어떤 이는 2018년에 완공시킨다고도 했다.
그러나 새만금의 용도는 오직 정치인이 우려먹는 것 말고는 우리에게 준 것이 지금까지 아무것도 없다.
새만금의 토지 이용 면적은 409㎢(1억 3천만 평)이다. 여기에 필요한 매립토는 최소 10억~30억㎥다. 산을 깎아도 한두 개로는 부족할 형편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매립토 확보 방안은 세워져 있지 않다. 한때 군장 항로에서 파낸 흙을 이용하겠다는 계획은 있었다. 그래서 펄을 펌프질할 파이프라인이 설치되었고, 경포천을 운하로 만들어서 바지선으로 흙을 옮긴다는 말도 있었다. 이 계획대로 한다면 새만금 사업은 150년이 지나야 매립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런 계획조차 슬며시 사라지고 말았다.
그래서 지금 하는 짓은 새만금 호의 깊은 바다 흙을 파내서 얕은 바다를 메우고 있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흘러드는 오염수를 가둬놓고, 호수는 점점 더 썩어서 3m 아래에는 산소조차 없는 그 바다의 흙을 파서 오염된 호소를 더 키우고 그 옆의 조금 얕은 바다를 메우고 있는 것이 지금 새만금 매립의 현주소다.(다음 호에 계속)
※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관련이 없습니다.
남대진 / 2021.03.03 15:3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