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연말까지 300명 인력양성 채용 지원
사내협력사 인건비·인센티브 지급 등
중소형·친환경 선박 중심 체질개선 병행
전라북도(도지사 김관영)가 내년 1월 군산조선소 재가동 준비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2017년 7월 가동중단 후 5년간의 부단한 노력 끝에 올해 2월 24일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군산시, 현대중공업과 ‘군산조선소 재가동 협약’을 체결한 이래로 인력양성, 고용보조, 후생복지 등 군산조선소 재가동 준비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경력자‧퇴직자‧자격증 소지자 등 ‘기존 인력 유입’과 ‘신규 인력양성’이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지난 7월부터 군산조선소 재가동에 필요한 인력수급(2022년 말 300여 명, 2023년 말 900여 명)에 본격 돌입했다.
경력자 등의 기존 인력에게는 조선업 유턴을 유도하기 위해 군산조선소 사내협력사 채용과 연계한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교육을 통해 훈련수당 80만 원 및 취업장려금(229명) 120만 원 등 200만 원을 지원한다.
조선업 경력이 없는 신규인력은 기본교육부터 진행되며 50만 원 훈련수당이 지급되고, 기본교육 수료 후 중대한 하자가 없는 경우 현대중공업 사내협력사에서 전원 채용하기로 약정돼 있다.
도는 지난 7월부터 TV광고 등 온․오프라인 홍보를 시작으로 ‘군산조선소 사내협력사 일자리 매칭데이(8.18, 이음의 날)’, ‘전라북도교육청 직업계고 취업박람회(8.24~25)’를 개최했다.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일자리 매칭데이(이음의 날)에는 군산 조선소 첫 채용설명회에 걸맞게 500여 명 안팎의 구직자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내년 이후 가동 인력확보를 위해 신규인력 양성을 확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어 교육훈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전북도는 군산조선소 재가동 초기에 사내협력사의 대규모 인력 채용 부담을 완화하고 근로자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고용 안정화를 위해 고용보조금을 지원한다.
고용보조금은 사내협력사와 신규취업자를 대상으로 지원한다. 청년(만 39세 이하)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으로, 신중년(만40세~ 69세)은 ‘조선업 신중년 취업지원’ 사업으로 구분해 지원한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사내협력사가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인건비를 1인당 매월 최대 160만 원씩 2년간 지원하고, 근로자에게는 2년 이상 근속할 경우 분기별 250만 원씩 최대 1,000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조선업 신중년 취업지원’ 사업은 사내협력사가 신중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경우 인건비를 1인당 매월 최대 70만 원씩 1년간 지원하는 한편 근로자에게는 1년 근속 후 분기별 50만 원씩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한다.
현대중공업에서도 군산조선소 사내협력사 직원을 대상으로 각종 복지혜택을 제공한다.
먼저 기숙사(현대중공업 오식관)와 숙소비(월10만원, 1년간), 주택 구입 이자 지원을 통해 주거 안정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대학 등록금 전액 지원 및 유아교육지원금(연180만원) 등 자녀학자금, 설․추석 명절보너스(50만원), 휴가비(50만원), 성과금(12월)도 지급하며 본인, 자녀, 배우자 등을 대상으로 한 의료비도 지원한다.
여기에 사내협력사 근속 3년 이상 근로자에게는 현대중공업 직영 생산직 전환의 기회도 부여한다.
전북도 전대식 혁신성장산업국장은 “지역경제 회복의 희망의 씨앗인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관련 제반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5년의 기다림 끝에 얻은 소중한 기회인만큼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통해 전북의 조선산업을 재건하고 나아가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춘 서해안 미래 친환경 조선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군산조선소의 차질 없는 재가동 지원으로 지역 조선산업 재건을 꾀하는 한편, 중소형‧특수선/친환경 선박 중심의 지속가능한 조선 생태계 조성을 병행 추진함으로써 지역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새군산신문 / 2022.09.13 09:2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