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산업의 안정적인 회복 지원, 대체산업 육성
신영대 국회의원 “국회 차원 최선 다할 것”
올 4월 4일 지정 만료예정이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기간이 1년 더 연장됐다. 연장 기간은 2022년 4월 5일부터 2023년 4월 4일까지다.
지난 2017년 7월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및 2018년 5월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등 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동반 침체로 군산시는 2018년 4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최초 지정(2018년 4월 5일 ~ 2020년 4월 4일)됐다.
군산시는 관련 산업 육성 및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여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연장(2020년 4월 5일 ~ 2022년 4월 4일)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31일 군산시의 지정연장 신청에 대해 현장실사 후, 지역산업위기 심의위원회 및 관계부처 협의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지정 연장을 결정했다.
시는 전라북도와 함께 정부부처, 지역 정치권에 지역의 어려운 경제상황과 연장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현장실사단 방문 시 관련 업종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반영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재연장될 수 있도록 노력했으며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본격적인 고용창출은 오는 2023년 이후 가능하고 신산업과 연계한 고용 창출 자생력 마련까지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절실한 상황임을 건의했다.
또, 군산조선소 재가동 대비 조선업 인력양성, 체질개선 및 생태계 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정부지원 및 전략 필요성 강조하고 골목상권 붕괴, 매출 하락, 폐업 증가에 따른 상권 실태 현황 및 현장의 어려움을 전달했다.
이번 산업위기지역 지정기간이 연장되며 그간 정부의 각종 지원 혜택과 추진 사업들의 효과가 이어져 주력 산업의 안정적인 회복과, 대체산업 발굴 및 육성으로 산업·경제 회복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지역 내 협력업체, 소상공인 대상 만기연장, 특별보증, 대출금리 인하와 각종 실질적인 재정지원도 지속 유지되고 위기지역 내 신규 투자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 확대로 신규 투자기업 유치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쓰러진 조선과 자동차산업을 되살리고 침체된 경기 회복을 위해 자동차 분야에서는 친환경 전기차를 생산하는 ‘군산형 일자리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으며 조선 분야는 스마트, 친환경, 소형선박 중심으로 사업을 다각화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내년 예정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맞물려 생산·기술인력 양성, 교육생 훈련수당 확대와 현장 맞춤형 특화훈련 등의 관련 예산 확보가 수월해지게 됐다.
군산에 대한 근로자·실직자의 생계안정과 재취업, 조선·자동차 협력업체와 소상공인의 경영난 완화, 보완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정부 지원도 유지·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신영대 국회의원(군산)은 “군산조선소 재가동 결정과 군산형 일자리 사업을 끌어내는 한편 지난해는 최대 4년이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기간의 5년까지 확대를 관철하고 군산의 조선산업과 자동차산업이 회복될 때까지는 지정기간 연장을 통해 적극적이고 추가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기존에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이 2년의 범위 내에서 1회만 연장이 가능했기 때문에 2018년 4월 최초 지정 이후 이미 한 차례 연장한 바 있는 군산은 내달 4일로 지정기간이 만료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신영대 의원은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군산형 일자리를 통해 회생 기반이 마련된 만큼 올해를 군산 산업·경제 재도약의 원년으로 삼겠다”며 “군산의 재도약을 뒷받침하기 위한 국회 차원의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새군산신문 / 2022.03.31 12:3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