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15MW급 설비 건설 추진
국내 유일 한전 기술 이전받아 사업화 성공한 첫 사례
온실가스 감축으로 탄소중립 선봉, ESG경영 박차
SGC에너지(대표 이복영, 박준영, 안찬규)가 한국전력공사(사장 정승일)와 지난 12일 2021빛가람국제전력엑스포에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액화 플랜트 건설을 위한 포괄적 업무 협약’을 추진했다.
이날 협약식은 박준영 SSG에너지 대표와 김숙철 한전 기술혁신본부장 등이 참석해 양 사의 기술과 사업화로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데 함께하기로 했다.
SGC에너지가 기술 이전받은 한전의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습식 기술로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제거하고 설비운전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한 세계 정상급 성능을 가진 기술이다.
액화된 이산화탄소는 순도가 99.99% 이상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최근 1만5,000시간을 초과하는 연속 운전에 성공, 국내 개발 중인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들 가운데 유일하게 상용화 수준에 도달했다.
SGC에너지는 이 기술을 국내 최대 규모 15MW급(일 300톤 규모)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적용해 압축, 액화하여 액체탄산(순도 99.99% 이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유통, 조선, 반도체, 농업 등 국내 산업계에 공급될 예정으로 국내 산업계의 만성 고순도 이산화탄소 부족이 상당 수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요가 지속될 경우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용량은 순차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SGC에너지의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2023년 중반에 상업운전을 개시한다. 설비가 가동되면 연간 10만 톤의 온실가스 감축으로 탄소 중립에 한 걸음 앞장서게 된다.
추가로 감축에 따른 탄소배출권 확보와 액체탄산의 판매로 인한 추가 수익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박준영 SGC에너지 대표는 “한전의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에 성공한 첫 사례가 될 것”이라며 “SGC에너지의 독보적인 사업 추진력을 바탕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 기술을 확장시켜 탄소중립을 앞당기고 ESG경영을 선도하는 종합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ESG경영이란 E=환경(Environmental) ;지속성장을 위해서 기업이 환경보호에 앞장서야 하며, S=사회(Social) ; 사회공헌 활동에 최선을 다하고, G= 경영 지배구조(Governance) ; 윤리경영을 적극 실천해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방식이다.
새군산신문 / 2021.11.12 13:5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