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충청 지역 환자 발생
최근 수도권 및 충청 지역 등을 중심으로 A형간염 환자 발생이 증가하면서 A형간염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보건소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조개젓으로 인한 A형간염이 전국적으로 유행하면서 전국 17,598건까지 발생해 국민건강을 위협한 바 있다.
조개젓 섭취중단을 권고한 이후 환자 발생이 급감했으나 지난 3월부터 수도권과 충청 지역 등을 중심으로 A형간염 환자 발생이 증가세가 다시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증상은 발열, 식욕감퇴, 구역 및 구토, 암갈색 소변, 권태감, 황달, 복부 불쾌감, 식욕부진 등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A형간염의 예방과 전파차단을 위해 안정성이 확보된 식품(조개젓 구입 시 A형간염 바이러스 검사 이력 확인 후 구입, 조개류 충분히 익혀 먹기)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강화 시민 홍보와 A형간염 예방접종 사업 적극 추진을 통해 시민을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A형간염의 치료는 특이적 바이러스 치료제가 없어 대증요법으로 대부분 회복되나 치사율이 0.1~0.3%인 만큼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간부전과 같은 합병증 예방을 위해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와 지시를 따라야 한다.
또한, 12~23개월의 모든 소아, A형 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소아청소년이나 성인, 환자의 접촉자는 A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20~30대는 항체 보유율이 낮아 항체검사 없이 예방접종을 받고 40대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때는 예방접종을 받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새군산신문 / 2021.06.25 10:2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