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민사회단체는 2004년 7월 지방자치단체(전라북도. 군산시)와 민간 하역사(CJ대한통운, 셋방, 선광)가 컨소시엄으로 설립된 부두운영회사 군산컨테이너터미널(이하 GCT)의 대표이사에 대한 낙하산 인사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지난 24일 기자회견을 갖고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의 존재는 군산 자유무역지역, 국제 무역항으로의 여건 및 외국기업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전라북도와 군산시의 중요한 재산이자, 군산항의 상징적인 의미라 할수 있다. 설립 단계시기 국민의 세금 투입과 지방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는 만큼 그 어느 회사보다 투명하고 책임있게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과거 민간하역사의 순번제로 인한 낙하산 인사로 인해 GCT는 독립적인 운영을 하지 못하였다. 순번제 대표이사는 민간주주사의 이해관계와 자사들의 이익추구가 우선되었고, 책임 경영은 없었다. 이는 GCT의 적자로 직결되었고 적자로 인해 회사 존폐의 위기를 겪어온 바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지방정부와 언론사에도 순번제 대표이사의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2016년부터 공모제를 통해 선임 후 터미널 운영은 민간주주사로부터 독립과 책임 경영을 할 수 있었고, 책임 있는 경영으로 공모제 이후 꾸준한 실적의 중가(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로 2018년도 한국GM군산공장 철수, 제조업 불황과 지역 수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2017년 대비 약 17% 상승하는 컨테이너 처리 실적을 올렸다. 오는 2월 임기만료 후 민간주주사는 순번제 대표이사를 다시 거론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잘못된 과거로의 회귀는 GCT를 다시 적자와 존폐의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다”며 민간주주사의 낙하산 대표이사 제도 복귀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대표이사 공모제 심사위원을 전라북도. 군산시. 민간주주 3사로 국한하지 말고 시민단체 등 다양하고 공정한 심사위원을 선임 할 수 있도록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종진 / 2019.01.29 09:59:44